반응형 성장기록/AI 공부2 챗GPT만 있는게 아니다~! 생성형AI 종류별로 알아보기 1. AI는 여전히 HOT요즘은 하루가 멀다 하고 AI관련된 뉴스와 이슈가 계속 생기는 것 같습니다.미국 도널드 프럼프 취임에 맞춰 지난 1월 21일에 Open AI, 오라클, 일본의 소프트뱅크 3사가 미국 내 인공지능용 데이터 센터 건설하는데 최대 5000억 달러가량의 대규모 투자할 것이라는 발표를 했습니다. 이름하여, '스타게이트 프로젝트' 그러고 나서, 지난번에 포스팅했던 딥시크에 대한 이슈가 터지기도 했죠. 아직도 핫합니다. [이슈] 중국 AI, 딥시크 등장으로 챗GPT 위기?2025년 1월 20일에 공개된 최신 대규모 언어 모델인 딥시크(DeepSeek) R1 소식이 핫합니다.기존 오픈 AI의 챗GPT를 위협하고 있고, 엔비디아의 주가가 17%가 폭락하여 5890억 달러가 증발할 정도라고 합니.. 2025. 2. 5. [이슈] 중국 AI, 딥시크 등장으로 챗GPT 위기? 2025년 1월 20일에 공개된 최신 대규모 언어 모델인 딥시크(DeepSeek) R1 소식이 핫합니다.기존 오픈 AI의 챗GPT를 위협하고 있고, 엔비디아의 주가가 17%가 폭락하여 5890억 달러가 증발할 정도라고 합니다. 왜 이슈이고, R1 모델이 무엇인지 설명드리겠습니다. R1은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고 개선할 수 있는 오픈소스로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부분은 투자된 비용입니다. 기존 AI모델의 경우 개발비용이 거의 1억 달러에서 10억 달러가 소요되는데 비해, R1의 개발 비용은 약 557만 달러로 최대 1/20의 적은 비용을 투입하여, 일명 중국 저비용 인공지능이라고도 불리고 있습니다. 이렇게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이유 중에 하나는 엔비디아와 같은 고가 반도체를 사용하지 않은 .. 2025. 1. 28. 이전 1 다음 반응형